미래에 닥칠 기후 변화는 대표적인 온실가스, 이산화탄소의 배출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기후 전문가들은 탄소 감축 노력을 4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의 결과를 예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탄소 배출을 극단적으로 줄인 '저탄소'와 현재 배출량을 유지하는 '고탄소' 시나리오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둘 사이에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나눈 2가지 시나리오가 존재합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'저탄소'와 '고탄소' 시나리오로 60년 뒤 남한의 온도를 전망해 봤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전국 평균 기온은 11.9도 <br /> <br />그런데 20년 뒤에는 13.5도, 14.8도로 오르고 60년 뒤가 되면 각각 14.2도, 18.2도가 됩니다. <br /> <br />[변영화 /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팀장 : 지금보다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서 분명히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겠고, 이로 인해 제주권을 넘어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는 점차 내륙으로도 아열대 기후구의 기준에 합당하는 곳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4계절도 의미가 없어집니다. <br /> <br />여름이 73일 증가해 170일, 그러니까 6개월 정도까지 늘어납니다. <br /> <br />기온이 33도를 웃도는 폭염일수(7.8)와 열대야 일수(2.8)도 수도권 기준 각각 11배와 27배 폭증합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겨울은 68일 짧아져 39일, 한 달 정도 이어진 뒤 끝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전국에서 가장 더운 지역도 영남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강수량도 현재 평균 1,328mm에서 1,571mm로 20%가량 늘어납니다. <br /> <br />집중호우가 잦아지고 한 번 내리는 비의 양도 늘면서 피해 규모도 커지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제주도 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강한 비가 자주 내리는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22403532645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